□ 순철(탄소함유량이 0.03% 이하)에서 탄소를 첨가하여 탄소강(0.03~2%이하)이 되는데,
온도 | 768~912℃ | 912~1,400℃ | 1,400~1,539℃ | 비 고 |
상태 | 체심(a) | 면심(r) | 체심(δ) | 평형상태도 |
▷ 이 평형상태에서 좀 더 빨리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것이 열처리 분야이며 탄소 함량에 따라 탄소강의 표준조직이 나뉨
□ 탄소량이 많아지면?
1) (물리, 화학적 성질) 비중, 열팽창계수, 열전도도, 내식성 등은 감소하나 비열, 전기저항, 항자력 등은 증가
2) (기계적 성질) 인장강도, 경도, 항복점 등은 증가하나 연성, 인성, 용접성은 감소함
□ Fe-C : 온도 - 탄소함유량(%)에 따른 변태점이 달라지는데, 이에 대한 상태도
□ 열처리
□ 탄소강의 표준조직
1) (페라이트) α고용체로 탄소함유량이 0.025% 이하이다. 연성, 전성이 높지만 인장강도가 낮다.
2) (오스테나이트) r고용체(면심)로 인성이 크고 강을 768℃ 이상에서 이루어지는 조직으로 안정적이고 연성이 강하나, 상온에서는 불안정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르텐사이트로 변태 됨. 마르텐사이트조직은 취성이 강하기 때문에 그래서 템퍼링, 어닐링, 노멀라이징을 을 통해 인성을 부여한다.
℃
CL 구분시 두자리 숫자중
앞자리 숫자는 열처리 관련 표시 입니다.
1 --> 열처리 None
2 --> 열처리 Stress Relieved
3 --> 열처리 Normalized
4 --> 열처리 Normalized & Tempered
5 --> 열처리 Quenched & Tempered
뒷자리 숫자는 RT & Pressure Test 표시 입니다.
0 --> RT : None / Pressure Test : None
1 --> RT : Full Length / Pressure Test : None
2 --> RT : Full Length / Pressure Test : Yes
3 --> RT : None / Pressure Test : Yes
□ KS D 3562 변경
(2009년) 화학원소 표기법이 변경됨에 따라 인용표준 및 관련 내용 변경 - 인장강도의 단위를 Kgf/mm2에서 N/mm2로 변경- 인장강도의 수치도 단위변경에 따라 환산하여 변경 - 종류의 기호가 인장강도의 값을 적용하므로 종류의 기호도 SPPS 38은 SPPS 380으로 SPPS 42는 SPPS 420으로 변경하였음 - 수압시험압력 또한 SI 단위인 MPa를 사용하여 표기하였음
'정보글 > 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W 용접에 대해 쉽게 알아보자 (0) | 2023.09.01 |
---|---|
ERW 용접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8.31 |
기계공작법 기초 5. 절삭이론, 선반가공 (0) | 2023.03.24 |
기계공작법 기초 4. 열처리, 다듬질 (0) | 2023.03.23 |
기계공작법 기초 3. 용접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