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1

[강환국님 유튜브 메모] 퀀트투자 기초 □ 버핏의 계량화 ○ (스타일) 레버리지 1.7배, PBR 낮고, 변동성(베타) 낮고, 우량주(QMJ) - 샤프지수(수익률/변동성)이 시장보다 낮음 ○ (우량주, QMJ) Quality Minus Junk로 안전성, 수익성, 배당성, 성장성이 최근 5년간 얼마나 성장했는가 ➊ 수익성 : ROE, ROA, GP/A(매출총이익/자산), CF/A, GP/Sales, (현금흐름 – 순이익) ➋ 안전성 : 변동성, 부채비율 ❸ 배당성 : 주식발행, 배당성향 ○ (우량주 랭킹) 각 지표들 순위의 평균을 내고, 통합 평균 - 강환국 : GP/A, CF/A, 영업이익 3년 성장률, 변동성, 부채비율, 주식 신규 발행, 배당성향 ○ 우량주는 비우량주보다 수익이 높음, 소형 우량주일수록 초과수익이 더 높음 □ 한국에서 버.. 2023. 3. 20.
재개발 투자, 미리 꼭 알아야할 것들 요약해준다. (5분 투자) 먼저, 진행단계 외우는 법 : 1. 조합이 2. 사업을 3. 관리한다. 조합설립인가 → 사업시행인가 → 관리처분인가 ㅁ 조합설립인가 (1/3 진행) 1) 다물권자 매물 조심 : 재개발 구역의 다주택자의 경우, 한 개의 입주권만 나온다. 다물권자 매물(1개 입주권 제외)을 사면 조합원 자격을 얻지 못하고 현금청산의 대상이 된다. 즉, 건물을 받지 못하고 보상금을 현금으로 받는 형태이다. → 가계약 전에 공인중개사에게 다물건자 물건여부를 확인해달라고 하고, 특약에 반영하기 " 동일 구역 내 매도인과 동일 세대 내의 모든 세대원이 본 건 부동산 외에 다른 물건이 없음을 확인하며, 추후 문제가 될 경우 이 계약은 아무조건 없이 해제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손해는 매도인이 책임진다. " 2. (재건축만 해당) 투기.. 2023. 3. 13.
[성남 구도심] #3 강남와 판교 사이, 성남 태평3구역 재개발 분석 태평 (1/2) 오늘은 성남본도심의 재개발 구역 중 태평 3구역을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최근에 태평3구역과 신흥3구역이 정비계획이 고시 되었으며 이는 성남시청 홈페이지에서 열람할 수 있다. 먼저, 태평3구역의 입지부터 분석해보자. SRT 수서역 - 개포 - 선릉 - 압구정 - 왕십리까지 이어지는 분당선 가천대역 인근이다. 가천대역은 SRT 수서역과 겨우 2정거장으로 매우 가깝다. 그리고 탄천과도 가까워 운동을 하거나 여가생활하기에도 매우 좋아보인다. 좀 더 크게 지리적 위치를 보여드리면 강남권역과 매우 가깝다. 판교로 출퇴근도 이매역에서 환승을 통해 쉽게 가능하고 인프라만 개선되면 양질의 일자리, 접근성을 고려하였을 때 지리적 위치는 정말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정비계획을 검토하여 사업성을 분석하여 보겠다. 빨간색으로.. 2023. 3. 12.
[성남 구도심] #2. 재개발 진행현황, 신축 시세 지난 포스팅에 이어, 오늘은 성남 본도심 재개발, 재건축 입주권과 신축의 가격을 분석해보려고 한다. 먼저 지난 포스팅을 복습하면, 성남 투자를 검토하게 된 계기는 1. 주변 양질의 일자리, 2. 분당 재건축 시 이주수요, 3.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재건축이 이유이다. 성남시 2030 도시,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에서 찾은 재건축, 재개발 예정 구역이다. 성남시 재건축 대상 아파트들은 용적률이 낮지 않다. 대부분 150%~200 초반 정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실상 추가 분담금을 무시할 수 없고, 언덕이 가파른 편이라 공사비도 많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그래서 재개발을 공부하는 이유이고,진행 단계가 초반이라도 실제로 일반분양까지 갈 가능성이 높고 실제로 활발히 정비사업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더욱 관심이.. 2023. 3. 10.
[성남 구도심] #1 서울과 판교 사이, 성남 재개발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대구시 중구의 도심지 재개발 사업을 지켜보면서, 구도심을 재개발하면 입지가 다시 주목받고, 젊은 인구가 모이고, 사회기반시설(도로, 공원, 학군 등) 이 개선되면서 가치가 상당히 높아지는 걸 느꼈다. 그래서 오늘은 미분양이 넘치고 넘치는 대구만 볼게 아니라, 한국의 실리콘 밸리.. 분당구 판교와 인접해 있는 성남 구 도심을 알아보자. 이번 포스팅은 성남의 일자리, 지리, 접근성 등을 먼저 소개하고, 실제 재개발 매물을 분석해보려 한다. 분당과 송파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강남과 송파 모두 30분 이내 거리이고, 바로 위에 위례 신도시가 위치하고 있다. 먼저 성남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해보려 한다. 1. 판교의 풍부한 일자리 판교에는 무려 1600여개의 기업이 입주, 7.3만여명이 일하고 .. 2023. 3. 9.
[재개발 쉽게 공부] #6. 대구 중구, 봉산동 재개발 봉산동(중구70) 재개발 정비구역을 알아보기 위해 대구광역시청의 고시를 확인해 보았다. 2021년 말에 나온 고시가 최신이었고, 용적률을 300%이다... 대자 면적은 3천평 정도로.. 작은 편이다. 가. 정비예정구역 변경 구분 구역 번호 위 치 구역면적 (㎡) 사업 유형 기준 용적률 추진 단계 생활권 유형 비 고 기정 중구 70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168-107번지 일원 16,050.0 재개발 250/300% 3단계 A 대구광역시 제2018-282호 (2018.12.31.) 변경 중구 70 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168-107번지 일원 16,366.2 재개발 300% 3단계 A 면적 변경 (증 316.2㎡) 용적률이 높아서 찾아보니, 준주거지역과 중심상업지역의 콜라보이다. 네이버 부동산에도 조합원 매울.. 2023. 3. 9.
[재개발 쉽게 공부] #5. 대구 중구, 재개발 재건축 알아보자 대구시 중구청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중구의 정비구역 현황을 볼수 있다. 오늘자 현황은 아래와 같다. 전체 현황은 많아서, 지금 짓고있거나 가로주택 형태는 제외하였다. 구 역 명 사 업 개 요 추 진 실 적 추 진 계 획 동인3가 재개발사업 (☏427-2589) ▸위 치 : 동인3가 192번지 일원(삼익맨션 주변) ▸면 적 : 66,702㎡ ▸예정규모 - 세 대 수 : 1,383세대(임대주택 포함) - 최고층수 : 29층(지하2층) - 동 수 : 17동 - 임대주택 : 84세대 ▸시공사 : 대우건설 ▸2006. 7.14. : 추진위원회 승인 ▸2014.12.22. : 정비구역 지정 ▸2016.12.27. : 조합설립 인가 ▸2020. 7. 24 : 사업시행계획인가 ▸2022. 7. 21 : 관리처분계획인가 .. 2023. 3. 8.
[재개발 쉽게 공부] #4. 대구 수성구, 재개발 재건축 대구는 미분양 급증에 따라 신규 건설사업 승인을 보류하고, 무더기 주상복합을 야기하는 pf 대출도 중단되는 시장 현실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재건축 재개발을 통한 주택공급이 주를 이룰거 같아.. 먼저 수성구의 재건축 재개발 진행사항을 확인해보았다. 이 중 착공한 단지를 재외하고, 추가 분담금이 많이드는 재건축을 제외하면.. 눈이가는 구역은.. 만촌 3동(수성 32구역)이 보인다. 관리처분 인가 전으로 아직 매수의 기회가 있는 듯하다. 아토즈 부동산이라는 블로그에서 퍼온 사진이다.. 위치는 담티역 남쪽이고.. 매물가격이 상당하다.. 아마 대지지분이 40평이 넘어서 여러채를 받거나 청산으로 돈을 돌려받을 수 있는 매물인거 같다. 대지지분이나 분담금은 나와있지 않다. 부동산에 전화를 해봐야겠다.. 2023. 3. 6.
[재개발 쉽게 공부] #3. 재개발 매물 분석,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재개발 매물을 보면 분담금, 종전자산 평가액 등 혼란스럽기만 하다. 예시를 통해 알아보자 부동산에 갔을때.. 현금이 얼마들구요, 분담금은 얼마에요.. 라면 혼란스럽기만 하다. 가상의 매물을 통해 이해해보자 @@시 @@구 2구역 다세대 매매가 4억, 최종매수가 6억, 투자금 3억 이를 분석해보자. 기존 세입자의 전세금이 1억이 있다는 뜻으로, 이를 매수하는데 현금이 3억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그럼 최종매수가 6억은? 다세대를 지금 사는데 드는 매매가 4억과 부담금 2억을 의미한다. 즉 다세대 건물을 4억에 매수하면 건물을 새로 짓는데 2억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뜻. 또한 소장님이 권리가액과 감정평가액으로 이야기한다면 권리가액 = 새아파트의 예상가치 감정평가액 = 지금 다세대 건물의 가치 권리가액 = 감정평가.. 2023. 3. 5.
[재개발 쉽게 공부] #2. 재개발 진행단계 재개발의 진행단계를 살펴보면.. [1단계] 정비 기본계획 ~ 추진위원회 수립 먼저, 구청 홈페이지에 들어가 ① 정비 기본계획 : 2030 @@시 도시 주거 환경정비 기본계획을 열람한다. 재개발은 입주민 동의 60% 이상 시 정비구역 지정이 가능하며, 정비구역 지정 후 토지 등 소유자 1/2 이상 동의서 받고 시장이나 군수의 승인을 얻으면 추진위 설립 ※ 주거지역 종류 - 용적률 : 건축물 총면적의 대지면적에 대한 백분율 구 분 일 반 서 울 비 고 1종 100 – 200% 150% 이하 2종 150 – 200% 200% 이하 3종 200 – 300% 250% 이하 준주거 200 – 500% 400% 이하 [2단계] 조합설립인가 ○ (재개발) 관리처분인가 이후 조합원 지위 양도 금지 [3단계] 사업시행인가.. 2023. 3. 5.
반응형